오늘은 아직 예정뿐이지만 그래도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관심을 두어야 할 GTX D, E, F 노선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진행상황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 GTX - D,E,F 공통 사항
- 국토부가 2023년 상반기 사업 검토 후 6월, 추진계획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에 완성되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2026년 7월 공개될 예정이다
1. GTX - D
- 경기도 김포시 장기역에서 경기도 부천, GTX-B 선로 공용노선으로 용산을 잇는 광역 급행 철도
- 장기, 검단, 계양, 대장, 부천종합운동장, 신도림, 여의도, 용산역 8개 역
- 국토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서부권 광역급행 철로라는 이름으로 사업이 공식화되었다.
- 김포시와 부천시를 잇는 노선이기 때문에 '김부선'이라고 불리며 지역 주민들의 공분을 산 후, 용산 연결을 검토하며 '김용선'으로 불리고 있다
- 김포, 검단 시민들은 GTX - D노선을 강남에 연결해야 한다며 촛불 시위를 하기도 있다
- 국토부 관계자는 강남 연장은 어렵지만 GTX-B 노선을 활용해 여의도, 용산 등의 역을 함께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관건은 역시 경제성이다. 사업비 과다, 경제성 미달 등 평가에서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하면 추진이 힘들 수밖에 없다
2. GTX - E
- 검암에서 경기도 남양주 덕소를 잇는 광역급행철도 사업
- 검암 계양 김포공항 등촌 디지털미디어시티 평창 정릉 광운대 구리 덕소역 예정
- 노선을 신설할 경우 새롭게 철로를 놓는데 더 많은 사업비가 투입되므로 공용노선을 활용하는 방안이 나오고 있다
- 수도권 북부는 인구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민자사업으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의견이다
- 수요와 수익성 확보가 관건이다.
3. GTX - F
- 수도권 거점도시를 연결하는 순환선이다
- 고양, 서울, 부천, 시흥, 안산, 화성, 수원, 용인, 성남, 하남, 남양주, 의정부, 양주, 고양역을 순환하는 열차가 될 것이다.
-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수도권 도시들끼리의 교통이 획기적으로 좋아질 것이다.
- 시속 1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고속열차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노선이 되지 않을까
- 그러나 도심을 지나지 않아 사업성 측면에서는 추진이 어려울 수도 있다.
윤대통은 GTX로 수도권 어느 지역에서나 30분 이내 서울 출퇴근이 가능하도록 만들겠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GTX 사업이 있을 텐데요
무엇보다 사업성 면에서 수요를 채우는 것이 관건으로 인구가 증가할만한 지역이 되는지를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이 시점에 신도시든 산업단지든 어떠한 변화로 인해 인구가 증가되고 수요를 채울 수 있을 때 이런 사업들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자체에서 수요 조사도 없이 사업을 진행하여 세금은 세금대로 나가고 흉물이 되어있는 시설들이 지금도 많습니다.
노선 중에 D노선은 확정이 되었지만 노선은 확실하지 않아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E, F 사업은 아직 형태도 갖추지 못한 상태로 보입니다. 혹시라도 GTX DEF 소문만 듣고 투자는 금물일 것입니다
작년만 해도 들끓어 오르던 GTX노선에 대한 관심이 부동산 침체와 함께 꺾여버린 것 같습니다. 그러나 미래를 준비하는 투자자라면 GTX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치면 안 되겠습니다.
올해 6월, 추진계획안이 나오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GTX A, B, C노선 사업 진행 현황 알아보기
2023.1.3) GTX 노선 사업 진행 현황 노선도
부동산에서 가장 큰 뉴스였던 GTX, 소식이 들릴 때마다 집값이 들썩들썩했었는데 이제 아주 잠~잠 하다. 집값하락국면에 GTX는 관심 밖으로 밀려났지만 이럴 때 공부하고 준비하면 좋은 기회를 잡
titanss.5manb.com
'정보 > 분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래미안 레벤투스 (도곡 삼호아파트 재건축) 분양 단지 예정일 입지 교통 학군 알아봐요 (1) | 2023.01.18 |
---|---|
김포 골드라인, 의정부 경전철 노선 연장 사업 현황 알아봐요 (0) | 2023.01.17 |
위례선 위례신사선 노선 진행 상황과 연장 요구 알아봅니다 (0) | 2023.01.14 |
동북선 우이신설선 방학선 연장 경전철 노선 진행 상황 알아보기 (0) | 2023.01.13 |
면목선 경전철 노선 사업 진행 현황 수혜지 알아보기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