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에서 가장 큰 뉴스였던 GTX, 소식이 들릴 때마다 집값이 들썩들썩했었는데 이제 아주 잠~잠 하다. 집값하락국면에 GTX는 관심 밖으로 밀려났지만 이럴 때 공부하고 준비하면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1. GTX란?
- 수도권 외곽과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로 GTX A, B, C 등 3개 노선이 추진되고 있다
- 3개 노선 모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 최고시속 200km, 평균시속 100km로 서울 도심까지 도착시간을 20~ 30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
- 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 2016 ~ 2025
- GTX - D.E.F 등 추가 노선 추진방안은 올 6월까지 수립할 예정, 임기 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추진하고 있다
2. GTX A
- 경기 파주 운정역 ~ 화성 동탄역
- 정거장 : 파주 운정역, 킨텍스역, 대곡역, 연신내역, 서울역, 삼성역, 수서역, 성남역, 용인역, 동탄역 등 10곳
- 일산에서 서울역까지 기존 52분에서 14분, 일산에서 삼성역까지 80분에서 20분으로 단축
- 진행상황 : 2023년 하반기부터 시험운행
- 2024년 하반기 운정 ~ 서울역구간, 2025년 하반기에는 전구간, 삼성역 까지는 2028년에 개통 예정이다.
- GTX - A노선의 진행속도가 가장 빠르나 삼성역의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계획 등으로 인해 삼성역정차는 지연되고 있다
- 임시적으로 삼성역을 무정차로 운영하고 운정, 서울역, 동탄역, 수서 등으로 분리해서 운영할 가능성도 있다
2. GTX B 노선
- 경기도 남양주 마석 ~ 인천 송도역으로 동, 서를 연결하는 최장 노선이다
- 마석역, 평내호평역, 별내역, 망우역, 청량리역, 서울역, 용산역, 여의도역, 신도림역, 부천종합운동장역, 부평역, 인천시청역, 송도(인천대입구역)
- 강남을 거치지 않는 탓에 경제성이 낮아 진행이 가장 느린 노선이나 노선을 변경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 민간에서 30년간 운영 후 국가에 반환되는 민간자본 BTO방식으로 진행된다
- 진행상황 : 내년 착공 예정 (2024)하여 2030년 개통이 목표이다
3. GTX - C
- 경기 양주 ~ 수원을 연결하는 노선
- 덕정역,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왕십리역, 삼성역, 양재역, 과천역, 인덕원역, 금정역, 의왕역, 상록수(분기선) 역, 수원역
- 윤대통령 공약이기도 했던 수원 ~병점역, 오산역, 지제역 연장은 상반기 실시협약체결 예정이다
- 삼성역 ~ 양재역 구간이 대치동 은마아파트 지하를 관통하기 때문에 주민들의 반발이 심한 상태이나 정부도 강경한 자세이다.
- GTX -C 노선은 올해 (2023) 하반기부터 공사에 들어가 2028년 개통하는 것이 목표이다
- 수원 ~ 삼성 구간 78분에서 22분, 의정부 ~삼성 구간은 74분에서 16분, 덕정 ~삼성 구간은 80분에서 23분으로 단축된다
4. 현재 상황 종합
- 정부는 부동산, 금융 규제 완화와 더불어 광역 교통망의 핵심인 GTX건설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 정부의 의지가 있으니 확실한 호재는 맞지만 각 노선마다 이슈들이 많아 진행에 변수가 많다
- 도심부보다 외곽, 앞으로 교통이 획기적으로 좋아질 곳들을 우선하여 보자
- 그러나 요즘 GTX호재를 받는 지역의 집값이 급등했다가 최근 부동산 하락으로 급락하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된다
- 투자를 하기 전 살펴봐야 할 주변지역 일자리, 학군, 기반시설 등을 먼저 확인하고
- GTX호재지역 투자 시에는 반드시 GTX역과의 거리, 주변지역 입지가 비슷한 지역들과의 가격비교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해야 한다
'정보 > 분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롭게 바뀐 분양제도 내용 변경사항 사례 (0) | 2023.01.06 |
---|---|
대한민국 철도 분류 도시철도 고속철도 광역철도 광역급행철도 (0) | 2023.01.05 |
2023.1.3) 규제지역 해지와 부동산 정상화 정책 정리 (0) | 2023.01.04 |
재개발 투자, 감정평가액 추정/예상 해보기 (0) | 2023.01.03 |
재개발 추진 절차, 투자 포인트 주의사항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