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재건축정보

서울 재건축 )재건축 안전 진단 완화 후 줄줄이 통과

최근 서울과 수도권의 노후 아파트들이 재건축 안전진단을 통과했다는 기사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재건축 안전진단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1월 5일부터 2월 28일까지 안전진단을 통과한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두 달간 5만 3,838채로 최근 5년 치의 5배에 해당합니다.

5만 3,838세대는 단지로는 32개 단지입니다.

출처 : 동아일보


안전진단 통과 아파트로는 

양천구 (13개 단지/2만 5,493채)가 가장 많았고 송파구 (5개 단지/ 1만 1,300채), 노원구(6개 단지/9,711)가 뒤를 이었습니다.

(2월 28일까지 정보로 변동가능성 있습니다)

올해 1월 5일부터 2월 28일까지 안전진단을 통과한 서울 재건축 아파트
양천구 13개 25,493세대 목동신시가지1~14단지
(5,9단지제외)
신길시영아파트
송파구 5개 11,300세대 올림픽선수기자촌
올림픽훼밀리타운
한양1차
풍납동 미성맨션
풍납동 극동아파트
노원구 6개 9,711세대 상계주공 1.2.6단지
상계한양
상계미도
하계장미아파트
서초구 2개 435 반포미도2차
영등포구 2개 699 신길우성1차
도봉구 2 3,169 신동아 1단지
서대문구 1 660 DMC 한양
금천구 1 986 남서울럭키

재건축 안전진단 절차

 

 

재건축 안전진단을 주택의 노후, 불량 정도를 조사하는 작업으로 조사 대상은 구조안전성, 보수비용, 주변 여건 등이 있습니다.

주민의 10% 이상이 동의하면 안전진단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아시아경제

재건축 안전진단은 예비안전진단(현지조사), 1차 정밀안전진단, 2차 정밀안전진단(적정성 검토)등의 3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1차 정밀안전진단은 구조안전성, 주거환경, 설비 노후도, 비용분석등의 검사를 진행하며 A~E등급 중 D등급(조건부 재건축) 이하를 받아야 재건축이 가능합니다.

E등급을 받으면 재건축을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재건축 안전진단 평가항가항목 비중 변화

문재인 정부가 구조안전성의 비율을 50%로 늘리고 주거환경 비중을 15%로 축소하면서 사실상 안전진단 통과가 어려웠었죠

이번 정부가 지난 1월 구조안전성 비중을 50%에서 30%로 하향하고 주거환경비중을 15%에서 30%로 상향하면서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출처 : 아시아경제

 

또한 올해 7월부터는 '안전진단 비용'을 자치구로부터 융자까지 받게 해 준다고 하니 재건축을 준비 중인 노후 아파트들의 재건축 속도에 더욱 탄력이 붙을 수밖에 없겠네요


 

물론 안전진단이 통과되었다고 재건축을 바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섣부른 접근은 지양해야 하지만 서울 재건축 단지들은 계속 지켜봐야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서울과 수도권의 유용한 재건축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